![]()
경제학에서의 오랜 화두는 ‘가치를 생산하는
것이 과연 무엇인가?’이다.여기에는 정치적인 요소도 가미되는데
잘 알려진 바대로 노동만이 생산성을 가지고 가치를 창출할 수 있다는노동가치론과 자본도 역시 생산을 하고 가치를 창출한다는 주류경제학의 논지를
가지고 영국과 미국의 캠브리지간에 유명한 논쟁이 있기도 했다
헨리 조지는 노동이든 자본이든 생산성이 점점 더 높아지고 사회는 진보하는데 막상 인간이
빈곤해지는 이유가 무엇인지를 고민한 끝에 핵심 이유를 지대에서 찾았다
사실, 요즈음 같은 시대에는 (특히, 우리나라)부동산에
의한 부의 불균형이 워낙 심화된지라 토지 혹은 부동산 관련 각종 세금과 규제가 타당한 듯도 느껴지지만 사실 순수한(?) 자본중심의 사고에서는 토지에 세금을 부과하고 각종 규제를 가한다는 것은 자유 시장 주의와는 배치된다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헨리조지의 생각과 이론들은 정치적인 색깔이나 경제적인 판단이 어느 쪽이든지 귀기울여 들어볼 가치가 충분하다
이 책은 미국의 사회사상가 헨리 조지(Henry George, 1839~1897)가 1879년에 처음 펴낸 진보와 빈곤(Progress and Poverty)의 완역으로 역자는 1989년에 축약본을 번역 출판하였다. 1997년 1월 초판 발행 후 번역이 미비하거나 어색한 부분이 있었고, 20년 가까운 시간 동안 독자층도 젊어져서 문체에도 얼마간 변화를 주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여 개역판을 발행하였다.![]()
문제의 제기
제1권 임금과 자본
제1장 현재의 임금학설 ― 그 불충분성 / 제2장 용어의 정의 /
제3장 임금은 자본에서 나오는 것이 아니라 노동에 의해 생산된다 /
제4장 노동자의 생계비도 자본에서 나오지 않는다. / 제5장 자본의 진정한 기능
제2권 인구와 생존물자
제1장 맬서스 이론, 그 발생과 지지 / 제2장 사실로부터의 추론 / 제3장 비유로부터의 추론 /
제4장 맬서스 이론의 부정
제3권 분배의 법칙
제1장 분배의 법칙과 법칙 간의 필연적 관계 / 제2장 지대와 지대법칙 / 제3장 이자와 그 발생 원인 /
제4장 의사자본과 흔히 이자로 오인되는 이윤 / 제5장 이자법칙 / 제6장 임금과 임금법칙 /
제7장 법칙 간의 연관성과 일관성 / 제8장 문제의 정태적 측면은 해명되었다
제4권 물질적 진보가 부의 분배에 미치는 효과
제1장 문제의 동태적 측면에 대한 검토 / 제2장 인구 증가가 부의 분배에 미치는 효과
제3장 기술 개선이 부의 분배에 미치는 효과 / 제4장 물질적 진보에 의해 생기는 기대의 효과
제5권 문제의 해결
제1장 반복적으로 발작하는 산업불황의 근본 원인 / 제2장 부의 증가 속에 영속되는 빈곤
제6권 해결책
제1장 현재 옹호되는 해결책의 불충분성 / 제2장 진정한 해결책
제7권 해결책의 정의성
제1장 토지사유제의 부정의성 / 제2장 토지사유제의 궁극적 결과는 노동자의 노예화 /
제3장 토지소유자의 보상 요구 / 제4장 토지사유제의 역사적 고찰 / 제5장 미국의 토지사유제
제8권 해결책의 응용
제1장 토지사유제는 토지의 최선 사용에 어긋난다 / 제2장 토지에 대한 평등한 권리를 확립하고 보장하는 방법 / 제3장 조세의 원칙에 의한 검토 / 제4장 여러 가지 지지와 반대
제9권 해결책의 효과
제1장 부의 생산에 미치는 효과 / 제2장 분배에 미치는 효과 및 이를 통해 생산에 미치는 효과
제3장 개인과 계층에 미치는 효과 / 제4장 사회조직과 사회생활에 나타날 변화
제10권 인간 진보의 법칙
제1장 인간 진보에 관한 현재의 이론 - 그 불충분성 / 제2장 문명의 차이와 그 원인
제3장 인간 진보의 법칙 / 제4장 현대문명의 쇠퇴 / 제5장 중심적인 진리
결론 개인의 삶의 문제
카테고리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