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182)
철학으로 매트릭스 읽기 매트릭스가 실재인가 시온이 실재인가 p.107 매트릭스 가설은 회의적 가설이다.…내가 살고 있는 세계가 일종의 매트릭스라는 주장을 부정할 수 없다는 점에서 논리적으로 참일 수 있다. 매트릭스 가설의 논리적 회의는 시온의 세계에도 적용된다. 매트릭스에서 깨어났으나, 과연 시온의 세계 역시 매트릭스의 인간이 꾸는 꿈의 세계가 아니라고 말할 수 있을까? 데카르트가 일찍이 갈파했듯이 우리가 인지하는 물리적 대상은 오직 감각 기관을 통해 야기된 ‘현상’일 뿐이다. 그것을 통해 과연 물리적 실체가 확실함을 확고히 할 수 있단 말인가? p.183 열려 있는 삶의 의미를 캐내어 확보하기 위해 죽도록 힘을 다해 삶의 토양을 일구었는데, 나중에 그 결과를 보니 자신이 죽어 들어갈 무덤 구멍을 애써 일군 것이었더라는 카뮈적..
괴테, 청춘에 답하다 현자의 재능을 훔치자. 이는 떳떳하지 못한 행동이 아니다. 오히려 좋은 일이다.괴테는 말한다. " 파우스트 에 등장하는 악마 메피스토펠레스는 셰익스피어의 노래를 부른다. 그것이, 도대체 그것이 왜 문제가 된다는 것인가?" 셰익스피어의 노래가 그 장면에 딱 들어맞고, 그 노래 이상의 것이 없다면 고생하며 새로운 것을 만들 필요는 없다. (145p) 요한 볼프강 폰 괴테 지음, 데키나 오사무 엮음, 이혁재 옮김 괴테, 청춘에 답하다 중에서 (예인(플루토북)) "현자는 현자의 재능을 능숙하게 훔친다." 대문호(大文豪)이자 현자(賢者)였던 요한 볼프강 폰 괴테. 파우스트 ,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 등을 쓴 작가이자 철학자, 과학자, 정치가였던 그가 만년에 능력 (talent)과 관련해 자신의 생각을 이렇게 이야기..
고전의 향연 고전을 읽어봐야지 하면서도 선뜻 손을 못대는 것이 많은 이들의 현실일 것이다. 그 원인을 생각해보자면 하나는 내용이 진부할 것이라는 예측 때문이고, 또 하나는 방대한 분량 때문이다. 특히 철학이나 동양사상같은 경우는 원작보다 쉽게 풀이한 책이 많이 있는데 굳이 어렵고 두꺼운 책을 붙들 이유가 있을까 생각하기 쉽상이다. 시간은 짧고, 정신적인 여유도 부족한데 말이다. 하지만 책을 읽을수록 보다 깊이있는 근원을 캐야겠다하는 마음이 드는 것이 사실이다. 어느 분야나 그 분야에 획을 그은 작품이 있기 마련이고 그것이 우리가 흔히 말하는 고전 이다. 그 분야를 알려면 그 분야의 고전을 캐는 것이 확실한 방법일 것이다. 비단 전문가가 되기 위해서가 아니라 그 분야에 관심이 있어 책을 보려 할 때에도 마찬가지이다. ..
쉽게 따라하는 자바 웹 개발 욱 쉽고 빠르게 배우는 자바 웹 개발의 비법!자바 웹 개발을 처음 접할 때 각종 프레임워크와 툴을 사용하는 방법에 어려움을 느끼는 개발자가 많다. 우리가 접하는 다수의 프레임워크와 툴은 각기 성능과 특징이 다르기 때문이다. 이 책은 이렇게 자바 웹 개발에 처음 뛰어들어 어려움을 느끼는 개발자가 쉽게 학습할 수 있도록 직접 만든 프로젝트로 설명을 한다. 이를 분석하고, 여러 기능을 추가하면서 이클립스, 메이븐, 스프링, 아이바티스, 하이버네이트를 한 번에 살펴볼 수 있다. 또한 단순히 기술의 기본을 익히는 것 외에도 빠지기 쉬운 함정을 피하는 방법을 알려 준다. 이와 함께 더 학습하면 좋을 내용들을 제시하기 때문에 한층 더 높은 수준의 개발자로 도약할 수 있도록 해준다.각 장의 학습이 끝나는 부분에 해당 ..
The House of Silk 이 소설은 현재 셜록 홈즈 라는 브랜드의 모든 권리를 가지고 있는 Conan Doyle Estate Ltd 의 허락을 받고 Anthony Horowits가 원작자의 분위기에 맞게 셜록 홈즈의 시리즈를 새로 쓴 것이다. 배경이코난 도일의 셜록 홈즈와 마찬가지로19세기 말 영국 런던이다. 얼마 전에 현재 런던을 배경으로 한 BBC의 새 시리즈 Sherlock 를 보고 갑자기 초등학교와 중학교 때 열독했던 셜록 홈즈 시리즈가 생각나서 읽어 보았다. (원작에서 왓슨은 Anglo-Afghanistan 에 참가했다가 다쳐서 귀국한다. 새로 만든 현제 배경의 BBC 드라마에서도 왓슨은 이라크전쟁에 참가했다가 다친다. 역사란 반복되는 것 같다.) Prologue 셜록 홈즈와 왓슨은 젊어서 한 집에 살면서 많은 미스테리..
경제적 청춘 300여 페이지의 길지 않은 분량, 얼핏 보아 만만해 보이는 제목. 어렵지 않게 완독하고 다음 책으로 넘어갈 줄 알았다. 책을 펼치고 1장을 읽을 때까지만 해도 그랬다. 결론을 말하자면 쉽지도 않았고 읽는 데 시간도 꽤 오래 걸렸다. 책장을 덮은 뒤 가장 먼저 든 생각은 ‘제목을 왜 이렇게 지었을까?’였다. 1장의 결혼과 연애에 대한 경제적 관점에서의 분석을 제외하면 굳이 책의 독자를 ‘청춘’에 국한시켜야 했냐는 의문이 들었다. 책은 다양한 쟁점을 다룬다. 불확실성이라는 큰 틀 안에서 워라벨, 기본소득제, 지역 균형 개발, 트럼프노믹스와 브렉시트의 등의 개념을 소개하고 분석한다. 저자가 기재부에 근무하는 현직 공무원이라 그런지는 모르겠지만, 저자 본인의 의견을 직접적으로 제시하기 보다는 주제와 관련된 여..
이상한 나라의 꿈 이야기 어린 아이들도 많이 아는 이야기로 다가오는 세계 대표 작가들이 들려주는 꿈 이야기를 통해 이미 익숙하게 알고 있는루이스 캐럴의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 미구엘 드 세르반테스의 돈키호테 ,중국 우화 ,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한 여름밤의 꿈 등 어른들에게는익숙한 이야기도 있고 아이들에게는 익숙하기도, 처음 접해보기도 한 이야기들로 짜여 있어 꿈 에 대해 명작들을 한꺼번에 볼 수 있는좋은 기회이기도 하였다.그림도 있고 글씨도 큼지막해서 초등학교 저학년 아이들도 큰 무리없이읽어볼 수 있어 다양한 꿈 에 대한 이야기를 접할 수 있었다. 꿈 은 희망적이기도하여 사람들로 하여금 무한한 희망과상상력을 부여하지만 반대로 그에 반하는 두려움을 동반하기도한다.책을 읽으며 다소 움찔하게 되는 장면이 나오기도하지만 그런 이야기를..
중국인은 왜 시끄러운가 요즘 오프라인서점(특히 동네 작은 책방)이 갖는의미를 다룬 책을 몰아 읽고 있다. 인터넷 서점에서 손쉽게 책을 구입할 수 있는 지금, 여전히 사람인 서점원이 존재하는 오프라인 서점이 살아남아야 하는 이유 중 하나는 의도가 아니라 우연히 인생 책을 만나는 경험을 선사하기 위해서이다. 나는 이를 위해서점에 가기도 하지만, 예스블로거이므로 취미 생활처럼 랜덤블로그 를 타고 돌아다닌다. 곧 파워문화블로거 14기도 선정하던데, 예스이십사가 인터넷 서점이 갖는 보편적한계를 극복하면서도 다른 인터넷 서점에비해사람 냄새 나는 환경을 구축하고 싶다면 이 점을 꼭 염두에 두어야 할 테다. 몇 년 열혈 블로거로서 여기에서 지내본 바 잘 되어가고 있는 편이라고 생각한다.아무튼 최근에 친구블로그에서 건축가 오기사 신간이 나왔었..
꼴 (9) 9권의 제목은 "기색이 바뀌면 운명이 바뀐다" 입니다.분명 이전에 성형을 해도 팔자가 달라지지 않는다고 하더니...기색을 바꾸면 운명이 바뀌다고 하네요.그럼 기색은 무엇일까요? 사전상 의미는 "마음의 작용으로 얼굴에 드러나는 빛" 이라고 합니다. 결국 "기운"과 "색깔"인데...기색이 바뀌면 운명이 바뀌지만 기색 또한 단적으로 정의하기 쉽지 않다고하니...너무 어렵습니다.좋은건 좋지만 때론 좋은게 좋은게 아닐수도 있다니... 이걸 어찌 해석해야 할지...대망의 9권으로 끝을 맺고 재미있었지만.. 결론은...보면 재미는 있었지만... 보기엔 어렵다네요..좋은 기색은 스스로 만드는 것이다!진지한 사회 참여적 성격과 대중성을 두루 갖춘 굵직굵직한 작품들을 통해 만화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해준 우리 시대 대표 ..
2017 에듀윌 7 9급 공무원 5개년 기출 행정법 2016 최신기출문제를 시행처별로 국가직/지방직/서울시, 급수별로 7·9급을 구분하여 수록되어있어서 제가 풀고 싶은 문제를 선택하여 집중적으로 공부할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문제난이도에 따라 선별학습이 가능해 더욱 만족스러웠고, 또한 3회독 시스템이라 반복적으로 공부할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특히나 저는 문제를 풀고 기본서를 찾아보며 문제풀이를 했었는데 이 문제집은 해설이 무척 꼼꼼하게 되어있어서 따로 기본서를 찾아보지 않아도 되었기에 너무 편리하고 좋았습니다. 또한 문제에 한정된 이론뿐만 아니라 그에 관련된 이론들까지 연결해서 공부할수 있는 길잡이가 되어 주는 교재라서 학습 효과가 더욱 배가 되는 것 같습니다. 요즘 문제집을 많이 풀고 있는데 다른 교재에 비해 구성이라던지 해설같은 것들이 확실히 좋은 ..